티스토리 뷰
누구나 은퇴를 하게 되면 근로소득이 없어지고 자산소득으로만 살아가야하는 시간이 찾아옵니다.
하지만 은퇴후에도 자산형성에 실패해 나라에서 보장해주는 국민연금이나 여러가지 복지로 숨만쉬고 사는 형태가 됩니다.
은퇴후 조금이라도 여유로운 생활을 즐기기위해서는 지금의 근로소득을 자산소득으로 바꾸어 미래로 보내야만합니다.
그런 방법중에 하나가 개인연금입니다.
개인연금은 나라에서도 세액공제를 통해 적극권장하고 있습니다. 한정적인 재원으로는 다가올 저출산 고령화인구를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이겠지요.
개인연금 종류에는 크게 일단 연금 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가 존재 합니다.
연금저축의 경우 은행,증권사,보험사등 다양한 금융기관에 개인이 가입하여 운영합니다. 일정부분 세액공제를 받을수 있으며, 운용하는 기관에 따라 특징이 제각각이니 각 회사별로 알아보고 자신의 투자성향에 맞게 가입하는것이 좋습니다.
개인형 퇴직연금(IRP)의 경우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운영한뒤 퇴직후 개인이 계좌를 트게 되면 그곳에다가 옮겨주고 개인이 운영하게 됩니다. 보통 이럴때는 은행권에 맡겨 운영을 하게 되지만, 은행 증권사 보험사중에서 선택해 미리 자신이 납입할수 있습니다.
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의 차이라 하면 세액공제 한도에서 차이가 나고 납입액에서 공제받는 금액이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연금저축의 경우 말그대로 저축한뒤 일정나이가 되면 연금수령을 하게 되고, 개인형퇴직연금은 펀드나 ETF에 투자하게 되는데, 연금저축또한 금융기관이 투자를 통한 연금액을 돌려주는것이기에 자신또한 간접투자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런 상품들을 선택할때에는 자신의 금융지식과 성향을 잘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다양한 조건과 자신의 지금 경제적 요건등을 모두 고려해야 하기때입니다.
'재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계좌 종류와 개설방법 (0) | 2024.04.04 |
---|---|
연말정산시 개인연금 세액공제 금액 (0) | 2024.04.03 |
만보기로 돈버는 앱 5가지 (1) | 2024.04.01 |
개인퇴직연금 연말정산 세액공제 금액 (0) | 2024.03.31 |